2025.01.05
22m 높이의 원유저장탱크까지 드론이 날아 올라간 시간은 그야말로 눈 깜짝할 새였다. 과거에는 체육관 크기만한 원유저장탱크를 점검하기 위해, 임시가설물(비계)을 쌓고 사람이 직접 한 걸음 한 걸음 올라가서 육안으로 검사하는 수밖에 없었다. SK이노베이션 울산 Complex(이하 울산CLX)는 드론을 활용한 검사로 이 문제를 해결했다.
| 장충체육관 크기에 달하는 원유저장탱크 검사, 이젠 육안이 아닌 드론으로
원유저장탱크는 원유를 수입해 정유공장에 원료로 투입하기 전까지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울산CLX에는 34기가 있다. 울산CLX 원유저장탱크의 총 저장 용량은 2천만 배럴로, 대한민국 원유소비량인 약 240만 배럴의 8배 이상을 저장할 수 있다.
원유의 특성상 유증기 등이 발생할 수 있어 원유저장탱크는 주기적인 안전 점검이 필수다. 올해부터는 관련 규정이 바뀌어 울산CLX는 11년 주기의 기존 정기검사는 물론, 별도의 중간 검사제도 도입했다. 실제로 5~6년에 한 번씩 검사를 하게 된 셈이다. 예전에는 34기의 원유저장탱크 중 매년 3~4기만 검사했지만, 이제는 6~8기로 두배 가량 늘어나게 된 것이다. 검사대상 탱크는 늘어났고 검사주기는 짧아졌으니, 드론을 이용한 검사가 아니었다면 비용과 인력 모두 추가돼야만 했던 상황이다.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으로 안전·비용·정확성 모두 잡았다
울산CLX의 원유저장탱크 드론 검사는, SK이노베이션의 정유사업 자회사인 SK에너지가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3대 전략의 일환인 스마트 플랜트(Smart Plant) 과제 중 하나다.
75만 배럴 용량의 원유저장탱크는 지름 86m, 높이 22m에 이르며 부피 기준으로 서울 장충체육관을 그대로 집어넣을 수 있다. 이렇게 거대한 원유저장탱크를 그동안에는 비계를 쌓아 사람이 직접 육안으로 검사할 수밖에 없었다.
울산CLX는 드론 검사 도입으로, 2021년까지 검사 예정인 탱크 30기에 대한 검사비용이 약 9억 원에서 5천만 원 수준으로 대폭 줄어들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통상 75만 배럴 규모인 원유저장탱크의 검사비용은 1기당 최대 1억 원이 들었으나, 드론 검사를 도입함에 따라 1기당 2~3백만 원 수준으로 절감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또한, 검사주기 단축으로 두 배 이상 증가한 검사 물량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 것도 큰 성과라 할 수 있다.
SK에너지는 울산CLX 원유저장탱크 정기검사에 드론을 도입함으로써 ▲육안검사 대비 검사 정확도 향상 ▲높은 곳에 사람이 올라가지 않아도 되기에 안전성 확보 ▲탱크 전체를 감싸던 임시가설물 미설치로 시간 및 비용 절감이라는 세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게 됐다.
| 애자일(Agile) 조직, 근본적인 고민에서 일방혁 성과를 이뤄내다!
처음부터 순탄했던 것은 아니었다. 울산CLX는 지난해 정부가 관련 정책을 발표한 후 1년여간 원유저장탱크 점검 방법을 개선하기 위한 수많은 논의를 거쳤다. ‘시간과 비용, 그리고 안전성에도 문제가 될 수 있는 임시가설물(비계)을 꼭 써야하나?’라는 근본적인 고민부터 시작했다. 그래서 생각해 낸 것이 바로 드론이었다.
그러나 드론을 검사에 활용하기 위해선 무엇보다 드론 추락으로 인한 폭발을 방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과제였다. 원유저장탱크는 유증기가 발생하기 때문에 작은 충격에도 매우 민감할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어려움을 갖고 있었다. 이러한 점 때문에 안전을 최우선하는 울산CLX가 드론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드론 검사를 도입하지 못했던 것이다.
울산CLX 검사Unit은 안전성 강화를 위해 드론에 낙하산을 장착하고, 공인 기관에서 배터리 충격 테스트를 완료했다. 또한 2차 배터리 폭발 방지를 위한 2중 프로텍터 설치, 2인 1조 운전으로 작동 오류 해소, 전문성과 기술력을 갖춘 울산 내 업체 발굴 등 이중, 삼중의 안전 장비 및 체계를 마련했다.
▲ 울산CLX가 드론을 활용해 원유저장탱크 정기검사를 수행하고 있다.
아울러 추락 등 드론 검사 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 문제 해결을 위해 울산CLX 내 장치기술, 장치, 검사분석, 원유운영 등 여러 조직이 유기적으로 결합했다. 이는 SK이노베이션 계열이 전사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일하는 방식의 혁신’과 ‘애자일’ 문화가 자리를 잡았기에 가능했다는 것이 관계자의 설명이다.
특히, 드론 검사 기법을 주도한 SK에너지 검사2Unit 최혁진 과장은 “드론 검사 도입은 그동안 안전 문제로 당연히 안된다고 여기던 것을 관련 부서가 애자일하게 움직여 근본부터 다시 파헤쳐 해결한 일하는 방식의 혁신 성과”라면서 “이후에는 환경오염을 야기시킬 수 있으나, 확실한 검사방법이 없었던 해상 파이프설비 등 SK 울산CLX 내 설비 검사에 드론 활용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SK에너지는 DT 3대 추진전략인 ▲디지털 O/E(Digital Operational Excellency), ▲디지털 그린(Digital Green), ▲디지털 플랫폼(Digital Platform)을 강화해 경쟁력을 높이고, DT를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삼을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