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온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주역 ‘SK이노베이션-현대·기아차’, 전기차 배터리 산업 생태계 발전 위한 전방위 협력으로 시너지 극대화
2020.09.08 | SKinno News

 

최근 정부는 한국판 뉴딜 사업의 10대 대표 과제 중 하나로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Mobility) 보급’을 선정한 바 있다. 이처럼 미래 모빌리티에 높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가운데, SK이노베이션과 현대·기아차가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핵심인 전기차 배터리 산업의 생태계 발전을 위한 협력에 나섰다.

 

SK이노베이션과 현대·기아차는 9월 8일, ▲리스·렌탈 등 전기차 배터리 판매 ▲배터리 관리 서비스 ▲전기차 배터리 재사용 및 재활용 등 전기차 배터리와 관련된 다양한 사업 분야에서 모빌리티-배터리사 간 협력 체계를 검증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협력은 전기차 배터리가 생애 주기 전반에 걸쳐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친환경성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양사가 공감해 이뤄졌다.

 

특히 배터리 공급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기존의 모빌리티-배터리사 간 협력과는 달리, 이번 협력은 ‘BaaS(Battery as a Service)’라 일컬어지는 배터리 생애 주기를 감안한 선순환적 활용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향후 모빌리티-배터리 업계에 보다 다양한 협업 체계가 확산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 SK이노베이션 연구원들이 전기차 배터리를 들고 있다.

 

이번 협력관계 구축을 통해 SK이노베이션과 현대·기아차는 ▲재활용에서 생산으로 이어지는 자원의 선순환 체계 구축 및 소재 공급 안정성 강화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전기차와 배터리 재사용을 연계한 최적 설계 및 이를 통한 부가가치 최대화 등의 시너지 효과를 도모하게 된다.

 

이를 위해 양사는 우선적으로 ‘니로 EV’ 차량에 탑재되는 배터리팩을 수거해 검증하는 실증 협력 과정을 진행 중이다. 특히, ▲차량용으로 더 이상 사용되기 어려운 배터리를 ESS(Energy Storage System, 에너지 저장 시스템) 등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배터리 재사용’ ▲차량 배터리로부터 리튬, 니켈, 코발트 등 경제적 가치가 있는 금속을 추출하는 ‘배터리 재활용’ 등 전기차 배터리의 부가가치와 친환경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이를 통해 미래 모빌리티 시대를 뒷받침하기 위한 전기차 배터리 재사용 사업의 사업성과 경쟁력을 근본적으로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뿐만 아니라 향후에는 현대차그룹 관계사 및 SK그룹 관계사가 보유한 다양한 분야의 사업 인프라와 역량을 결합시켜, 전기차 배터리 경쟁력 강화는 물론 관련 산업 확대에도 적극 노력할 계획이다.

 

(*) E-GMP(Electric-Global Modular Platform) : 전기차 전용 플랫폼

 

 

한편, SK이노베이션은 이모빌리티(e-Mobility)에 기반해 전기차 배터리 사업의 전후방 밸류체인을 완성할 수 있는 ‘5R(Rental, Recharge, Repair, Reuse, Recycle)’을 전략 플랫폼으로 한 BaaS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SK이노베이션은 특히 사용 후 배터리에서 회수된 리튬이 NCM 811** 등과 같이 하이 니켈(High Ni) 양극재 제조에 직접 활용될 수 있도록, 리튬을 수산화리튬 형태로 우선 추출한 뒤 NCM 금속을 추출하는 독자기술 개발 및 상용화를 앞두고 있어 양사의 전기차 배터리를 활용한 협력 시너지가 극대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NCM 811 : 니켈-코발트-망간 비율이 ‘8:1:1’인 배터리

 

관련 스토리